건 강

[스크랩] ?음식에 맞는 그릇 사용하기??

恒心 2011. 10. 18. 21:17

음식에 맞는 그릇 사용하기??

 

많은 사람들이 그릇을 선택할 때는 단순히 색깔과 분위기를 맞추려고 선택을 하게 되는데,  2008-07-29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을 담는 그릇이기에 좀더 신중하게 선택 하셔야 합니다.

 

사람들이 쉽게 가벼이 생각하는 부분인데,

우리가 흔히 쓰는 그릇은 특정 음식과 만났을 때는 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보기에만 잘 어울린다고 써서는 안되는 것이지요.

 

가정에서 흔히 하는 실수를 예로 들어 본다면~

 


 

튀김과 금속 그릇

튀김을 튀길 때 쇠로 만든 냄비에 튀겨야 하는건 어쩔 수 없지만.

튀긴 음식을 금속 그릇에 담아두는 것은 절대 피하셔야 합니다.

 

음식의 지방성분이 금속에 닿으면 쉽게 산화되어 해로운 물질을 만들기 때문인데요.

 

튀김을 쇠 철망으로 건져낸후 기름을 빼기 위에 그대로 두기 보다는,

나무로 된 바구니 혹은 키친타올 등에 놓고 기름을 빼는 것이 현명한 방법 입니다.

 

그리고, 한번 튀길 때 쓴 기름을 금속 그릇에 넣었다가 다시 쓰기도 하는데, 안 좋은 습관입니다.

이렇게 보관된 기름으로 튀기는 것은 산성화된 기름 덩어리에 음식을 튀기는 것과 마찬가지 이기 때문입니다!!

 

 

 

지방 식품과 플라스틱

플라스틱의 특성이 지방에 녹는다는게 문제입니다.

많이 아시다시피 플라스틱은 가소제, 첨가제 등의 화학약품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지방이 많은 음식에 플라스틱을 사용한다면 이러한 성분들이 녹아들어가 먹게 되는것이지요.

 

그러므로, 지방이 많은 음식을 담을때는 유리나 나무로 만든 그릇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나무로 된 그릇의 경우에는 유약을 칠해서 만든 그릇도 있기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무공해 유약이라고는 하지만.. 화학반응으로 성질이 변한다면 어떻게 신체에 영향을 미칠지는 모르기 때문에 ..)

 

또한 오래 사용한 목기의 경우에는 균이 번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한 목기는 햇볕에 살균을 꼭 해서 말리고, 습한 곳에 두어서는 안됩니다.

 

 


요구르트(발효 유제품)와 금속 수저

금속 수저가 요구르트의 발효 성분과 닿으면 화학반응이 일어나 요구르트에 들어 있는 유산균을 죽인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요플래? 등에는 플라스틱 수저가 나오는것 같군요 ~!

 

 

 

 

신 김치와 알루미늄

김치를 흐를까봐 알루미늄 호일에 싸기도 하는데,

알루미늄은 산성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옳지 않은 습관입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신 김치를 호일에 오래 싸두면 알루미늄 호일이 녹아 내릴수도 있고,

이렇게 알루미늄이 녹아내린 식품을 먹는다면 알츠하이머 병을 일으킬수도 있다고 합니다.

 

 

    (조사 하다 보니.. 계란 노른자의 산도가 19.2 로 가장 높더군요..)

 

산성을 띄는 음식과 화려한 색상의 도자기 그릇

흔히 도자기는 몸에 좋은 식기로 알고 있지만,

도자기를 살 때는 되도록 흰색이나 아이보리 색처럼 단색 계통으로 사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도자기 그릇 제품이 같지는 않겠지만,

색깔이 화려한 것일수록 중금속 함량이 높은 무기안료를 쓴 제품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지요.

 

이런 제품의 경우 산성을 띄는 음식을 담으면 중금속이 용해되어 음식과 같이 섭취하게 될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점에서 가장 높게 평가 되고 있는 것이 전통 옹기 입니다.

 

전통 옹기를 흔히 '숨쉬는 그릇'이라고 하는데요.

옹기를 굽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루사이트 현상때문입니다.

 

옹기의 재료인 고령토가 800도 이상의 열에서 구워지며 고령토에서 루사이트로 변하게 되는데,

루사이트 현상에 의해 옹기 벽 내에 미세기공이 생기게 되고,

이 미세기공은 공기는 통과 시키지만 물은 통과시키 않을 정도로 작다고 합니다.

 

비를 맞게 되더라도, 빗물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공기는 옹기 안과 밖을 통하기 때문에,

옹기에 저장한 음식이 잘 익고, 부패하지 않도록 해준다고 합니다.

 

맛집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아직도 옹기를 이용해서 간장이나 된장 혹은 다른 음식을 보관하는 것은

이러한 이상적인 보관그릇으로 인정받기 때문이라서가 아닐까요?? ^^?

 

올바른 그릇선택으로 오래오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흰할매
글쓴이 : 흰할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