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명의 손사막은 사람과 식물은 닮은 점이 매우 많다고 말했다. 식물의 씨를 심고 나서 물을 주고 거름을 주고 흙을 붂돋아 주면 농작물은 잘 자란다. 사람도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일부분이다. 그래서 농작물 처럼 물도 주고 거름도 주어야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은 농작물에게 거름을 주는 것과 같고 흙을 붂돋아 주는 것은 사람에 있어서는 체육단련과 경락소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양자가 잘 배합될 때 사람은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또 하나 생각해 볼 일은 온도이다. 적당한 온도 아래에서 농작물은 잘 자란다. 프로리다주에 한파(寒波)가 몰아 칠 경우 채소와 과일 값은 하루 사이에 폭등하는 것을 볼수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에 있어서 온도의 변화는 생장에 가장 중요한 일부분이다. 다만 사람과 식물이 다른 점은 식물은 자신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대자연이 온도를 결정해 주는데 따라서 식물의 생노병사가 결정된다. 그러나 사람은 대자연과 계속 투쟁하여 오는 과정 속에서 스스로 체온을 섭씨 37 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기후가 한냉할 때 사람들은 의복을 두텁게 껴입고 고열량 음식물을 섭취하고 운동을 하며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각종 설비를 사용할 줄 알게 되었다. 더운 여름철에는 사람들은 의복을 얇게 입고 청량(淸凉) 음식물을 섭취하여 체온을 내릴줄도 알게 되었다. 또 땀을 냄으로써 체온을 조절할 줄도 알게 되었으며 여러가지 기구를 사용하여 체온을 내릴 줄도 알게 되었다. 사람은 아주 좁은 간격의 온도 범위 사이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체온이 섭씨 37.5 도 이상이 되거나 섭씨 36 도 이하가 되면 질병에 쉽게 걸리게 만들어져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사망율이 높은 질병은 심장병인데 심장병에 걸리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노년인들이고 가장 발병율이 높은 계절은 겨울철이다. 또 발병 원인은 동맥경화이다. 동맥경화는 외계의 온도와 상관 관계가 높다. 왜냐하면 외계의 온도는 사람의 체온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체온을 장기간 낮게 유지하면 할 수록 혈관은 자연적으로 단단해 진다. 인체의 온도를 항상 따뜻하게 해주면 혈관에 경화가 생기지 않는다. 19 세기 프랑스의 의사 카사니스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사람과 동맥은 같은 수명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의 동맥은 계속 경화되고 막히기 때문에 최후로 심장과 뇌 등의 혈관이 경색되어 사망에 이른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혈관을 잘 보호해 주면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추운 겨울철에 수박과 바나나와 같은 한냉한 과일을 먹으면 속에서 부터 밖으로 찬기가 나타남으로 신체가 오므라든다. 그러나 열기(熱氣)가 많은 양고기나 개고기를 먹고나면 신체가 따뜻해 짐을 느끼고 신체는 오므라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느슨해진다.
심혈관 질병이나 뇌혈관 질병이 있는 사람들이 혈관 확장 약물을 복용한다. 그러나 그 사람들이 먹는 것을 보면 항상 혈관을 수축시켜 주는 한냉 음식물을 먹고 있다. 만일 그들이 한냉 식물 대신 온열 식물을 먹는다면 체온이 올라가서 자연적으로 혈관이 확장될 것이며 혈관 확장 약물을 덜 먹어도 될 것이다.
[돌선생] 음식물의 배합과 건강 2011.04.14
음식물의 배합을 잘못 하면 건강을 해친다.
모든 음식물에는 온(溫), 열(熱), 한(寒), 양(凉), 평(平) 의 다섯 가지 성질이 있다. 추운 겨울철에 성(性)이 한량(寒凉)인 과일과 채소를 먹고 한량성 음료를 계속 섭취할 경우 인체내의 장기의 온도가 하강된다. 그 결과 혈액순환이 완만해 지고 장기의 기능이 약해지며 완만한 혈류 때문에 침적 현상과 정체 현상도 나타나서 어혈도 생기며 혈관이 막힌다. 이로 인하여 각종 질병과 혈관과 관계된 심혈관 질병과 뇌 혈관 질병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음식물의 오성(五性)에 관하여 약간의 지식을 갖고 있는 것이 건강을 위하여 유익하다.
곡류 :
평성(平性) : 쌀, 옥수수, 감자, 귀리, 고구마, 황두(黃豆), 완두, 잠두, 팥, 참깨
온성(溫性) : 찹쌀, 검정쌀, 고량(膏粱)
양성(凉性) : 좁쌀, 밀, 보리, 메밀, 율무, 녹두
육류 :
평성(平性) : 돼지, 달걀, 메추리, 아교, 뱀, 우유, 자라, 오징어, 해삼, 상어
온성(溫性) : 소고기, 개, 양, 오골계, 참새, 사슴, 합개, 곰발바닥, 누에, 양유, 해마, 새우, 갈치
양성(凉性) : 오리, 토끼, 한 : 오리알, 게, 굴, 소라,
과일 :
평성(平性) : 오얏, 포도, 귤, 검실, 연자, 백자인, 땅콩, 은행, 산사, 밤, 개암
온성(溫性) : 살구씨, 복숭아씨, 대추, 여지, 계원, 레몬, 석류, 모과, 잣, 호도, 앵도
양성(凉性) : 사과, 배, 망과, 나한과, 마름, 연자심, 백합
한성(寒性) : 감, 곶감, 바나나, 상심자(오디), 무화과, 다래, 수박, 유자
채소 :
평성(平性) : 산약, 무, 당근, 채소, 감자, 흑목이, 표고,
온성(溫性) : 파, 마늘, 부추, 양파, 열성(熱性) : 고추
양성(凉性) : 토마토, 가지, 유채, 시금치, 두부, 연근, 동과, 수세미,
한성(寒性) : 오행초, 발채, 미역, 김, 다시마, 고과
기타음식 :
평성(平性) : 설탕, 빙당, 된장, 구기자, 영지, 옥수수 수염, 둥굴레, 천마, 당삼, 복령, 감초, 계내금, 산조인, 참기름, 엿 온성(溫性) : 생강, 후추, 들깨, 정향, 팔각, 회향, 술, 초, 홍차, 커피, 흑설탕, 동충하초, 자하거, 천궁, 황기, 태자삼, 인삼, 당귀, 육종용, 두중, 백출, 하수오
열성(熱性) : 후추, 육계
양성(凉性) : 녹차, 꿀, 봉왕장, 비주화, 괴화, 국화, 박하, 백작, 사삼(더덕), 서양삼, 결명자
한성(寒性) : 간장, 소금, 금은화, 고과차, 백반
음식물 섭취시 주의 사항 :
성(性)이 평(平)인 음식물은 사계절 아무때나 섭취해도 좋다.
성(性)이 온(溫)인 음식물은 여름철에는 소량을 섭취해야 되고 기타 계절에는 섭취해도 좋다.
성(性)이 양(凉)인 음식물은 여름철에 주로 섭취하고 기타 계절에는 온성(溫性) 식물과 함께 배합하여 섭취한다.
한성(寒性) 식물은 적게 섭취해야 되는데 꼭 먹어야 할 경우엔 반드시 고추 가루나 후추 가루나 생강 등 온열성(溫熱性) 식물을 곁들여 먹어야 한다
[돌선생] 아연 부족과 암 2011.04.12
암은 인체의 면역 기능이 약화될 때 발생한다. 인체내의 T 세포는 흉선에서 성숙되며인체에 암세포가 발생하면 T 세포는 즉시 암세포를 공격하여 살상한다. 40 세 이후에는 흉선이 위축되기 시작하여 T 세포의 숫자도 감소된다. 그러므로 노인들이 암에 걸릴 확률은 점점 더 높아진다. 과학자들은 T 세포의 감소와 체내 아연의 함량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의 과학자들은 아연의 함량이 적은 사료와 아연의 함량이 높은 사료를 실험실 쥐에게 먹였다.
아연의 함량이 적은 사료를 먹인 쥐들이 암에 쉽게 걸렸다고 보고했다. 과학자들은 노인들에게 아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을 섭취하라고 권장한다. 예를 들면 어류, 수육(瘦肉), 모려(牡蠣 : 굴), 동물의 간, 해산품, 두류(豆類), 호박씨, 잡곡 등에 아연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인체내에 아연이 충족 할 경우 면역 기능은 증강된다.
'건 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연이 빚어낸 발효식품, 전통 천연식초 (0) | 2011.10.18 |
---|---|
[스크랩] 당분과 염분은 유기물을 발효시킨다.| (0) | 2011.10.18 |
[스크랩] ??비타민 D 관련질환-골다공증·저칼슘혈증에 처방 (0) | 2011.10.18 |
[스크랩] ?미네랄 과 인체 (0) | 2011.10.18 |
[스크랩] 피를 맑게, 혈관을 튼튼하게 (0) | 2011.10.18 |